본문 바로가기

Web

application.properties 이해하기

728x90
반응형

개발을 하는도중 application.properties(이하 properties파일)라는 파일을 알게 되었고 이 파일 내에서 상당히 많은 일을 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.

 

 

대표적으로 본인이 사용한 기능으로는

database 접속 정보를 남겨놓는 것이다.

properties파일 내에서 변수?를 선언을 할 때는 . 으로 연결하여 보통 사용하는 거 같다.

ex)

spring.datasource.jdbcUrl=jdbc:mysql://localhost:3306/xxxxx?allowMultiQueries=true&characterEncoding=utf8&useAffectedRows=true&noAccessToProcedureBodies=true 
log4jdbc.spylogdelegator.name=net.sf.log4jdbc.log.slf4j.Slf4jSpyLogDelegator
spring.datasource.username=xxxx
spring.datasource.password=xxxx!

이런식으로 선언을 해놓고 propertiesConfig 자바파일에서 bean을 만들어 database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.
(앞으로 협업을 할 때 svn 혹은 git에서 소스를 체크아웃 한 후에 db접속정보를 따로 요구 할 필요가 없다.)

 

또한 서버 파일을 읽을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.

ex)

notice.file.path=E:/jongno/notice/
pdf.file.path=E:/jongno/pdfFile/

이런식으로 선언을 해놓고 파일 업로드 혹은 다운로드 기능에서 propertiesConfig에서 형성된 bean을 이용하면

bean.getValue("notice.file.path");

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.

 

그리고 정말 많이 쓰이는 용도로 프로젝트 전체의 인코딩을 설정한다.

ex)

# Encoding UTF-8
server.servlet.encoding.charset=UTF-8
server.servlet.encoding.enabled=true
server.servlet.encoding.force=true

현재 프로젝트의 기본 인코딩 방식을 UTF-8로 하겠다는 것이다.

 

그 이외에도 보통 PG셋팅, Email 발송 셋팅 등등 많은 역할을 하는 파일이다.

 

이렇듯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는 프로젝트 내에 전반적인 많은 내용들을 담고 있다.

 

이렇게 application.properties 파일에 담겨있는 내용들을 프로젝트 빌드시에 읽어 보관하고 그 정보를 어디서든 불러와

재사용하는 것 같다.

728x90
반응형